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동반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를 질적 분석을 통해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년 이상의 활동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시간제와 전일제 청소년동반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두 개 이상의 자료를 계속적으로 비교하여 공통되는 범주의 속성을 찾아내는 지속적 비교방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였다. 청소년동반자들의 역할수행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의 범주와 8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찾아가는 서비스’는 ‘찾아가는 서비스와 상담에 대한 딜레마’, ‘안전에 대한 불안감’, 그리고 ‘불합리한 업무여건’이라는 3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두 번째 범주인 ‘자원연계 서비스’는 ‘연계시스템 활용의 적극성 부족’과 ‘청소년동반자의 인식 및 접근방식의 차이’라는 2개의 하위영역, 마지막 범주인 ‘지원체계 및 환경’은 ‘실적위주의 사례운영 및 배정’, ‘경직된 조직문화’, 그리고 ‘배려 없는 근무환경’이라는 3개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동반자 사업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for examining what Youth Companions' difficulty are in their role performance. For this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2 Youth Companions who have been doing for more than one year of field experienc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snowball sampling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a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rough data analysis, 3 categories and 8 sub-categories were found. First category was 'visiting service' and had 3 sub-categories that were 'dilemma between visiting service and counselling', 'anxiety about the safety', and 'irrational activity condition'. Second category was 'resource connection service' and had 2 sub-categories that were 'lack activeness of system application' and 'difference of cognition and approach'. And last category was 'supporting system and environment' and included 3 sub-categories that were 'unsystematic case management', 'uncomfortable organization culture', and 'thoughtless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Youth Companion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