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자녀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남에 소재한 4곳의 대학과 4곳의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1,114명을 대상으로 부부갈등, 부모화, 수치심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1,061명의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표집된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한 결과 부분 매개 모형이 적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부부갈등은 자녀의 수치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을 매개하여 수치심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부갈등은 부모화 돌봄과 부모화 불공평 모두를 높였지만, 부모화 불공평이 수치심을 높이는 것과 달리 부모화 돌봄은 수치심을 낮추는 보호요인의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치심을 경험하는 개인을 위한 개입전략을 마련하거나, 부모교육을 함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Parentifiaction as a mediator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hame. 1,061 university or college students in Busan or Gyeongsangnam-d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marital conflict, parentification, shameness.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rst result shows that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econd, marital conflict influence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Third,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hame. Specially, parentification-injustice increas shame, but parentification-caretaking decrease shame, though maritital conflict increase both of parentification-caretaking and parentification-injustice. These conclusion provide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help preparing intervention strategy for person to feel shame and help doing parent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