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론모형과 실증연구에서 학교참여는 행동적, 정서적, 인지적 참여를 포함하는 다차원 구인으로 간주되고, 학교참여 3요인의 예측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행동적 참여가 정서적 참여에 영향을 주는 인과관계를 가정한 참여-동일시 모형과 그 반대의 인과관계를 가정한 선호-참여 모형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생 자료에 적합한 모형을 확인하고, 학업동기의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교실맥락이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를 매개로 인지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중학교 1, 2, 3학년 834명의 자기보고식 질문지 자료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동기증진 교실맥락이 인지적 참여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행동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의 순차적 매개경로를 거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정서적 참여와 행동적 참여의 순차적 중다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교실맥락과 인지적 참여의 관계에서 정서적 참여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한 반면에 행동적 참여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선호-참여 모형보다 참여-동일시 모형이 우리나라 중학생 자료에 더욱 적합하고 정서적 참여가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난데 대해 논의하였다.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chool engagement encompassing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and their predictive relations are well recognized in the literature. However, how the three dimensions work together in motivating classroom contexts is largely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participation-identification model or liking-participation model fits the data from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better an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in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classroom contexts and cognitive engag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procedures were applied on the questionnaire data from a sample of 834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motivating classroom contexts had no direct effects on cognitive engagement but were indirectly linked to cognitive engagement through the simple mediation of emotional engagement or the multiple mediation of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The results support participation-identification model and imply that motivating classroom contexts increase behavioral engagement, which in turn enhances emotional engagement, which finally improves cognitive eng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