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is study, the practical model of career education applicable to current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internal resource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elemen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opportunity and threat in relation to the career education of current schools in South Korea. To propose the practical model, a firm grasp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career education was needed since teachers are the primary subject of career education. For this study, survey and additional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Moreover, 170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teachers who were in the middle of the career education training were also surveyed, and interviewed for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s a result of the internal resources, teachers and the nation increased awareness on career education. However, the lack of verification on the product of career education and the insufficient user centered approach were indicated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resources. The key elemen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opportunity were presented—changed people’s understanding from seeking higher education to pursuing income, changed views on occupations, and emphasis on importance of the lifelong career development in the aging society. The identified key elemen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threat were standardized values and distinctions on occupations presented in the society and lack of connections with career education related organization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e need of practical counseling trai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user-centered customized career education were confirmed. In the discussion section, suggestions were made on improving the education community, introduction of academic-industrial connecting system, and practical use of customized consultation system.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진로교육과 관련한 내부자원의 강점과 약점은 물론 외부환경의 기회 및 위협요소를 포괄적으로 분석한 후 우리나라 교육 현황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진로교육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의 일차적인 주체인 교사의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진로교육연구회의 참석 교사들을 면담을 통해 질적 분석을 하였고, 추후에 진로교육 직무연수중인 중ㆍ고교 및 실업계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양적분석을 하였다. 내부 자원의 강점(Strength)으로는 국가 수준에서 진로교육에 대해 관심이 증가와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증가가 확인되었고, 단점(Weakness)으로는 진로교육의 성과에 대한 검증이 미흡한 것과 수요자 중심의 접근이 부족한 점이 지적되었다. 외부 환경의 기회(Opportunity)요인으로는 학벌 우위 인식에서 실질 소득을 추구하는 인식과 직업관의 변화와 고령화 사회에서의 평생 진로개발의 중요성이 부각이 제시되었고, 외부 환경의 위협(Threat)요인으로 직업에 대한 우리 사회의 획일적인 가치관과 차별 그리고 진로교육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부족이 지목되었다. 양적 분석을 통해 S(강점) - T(위협) 결합모형에서 내부적 강점이 많을수록 진로교육 프로그램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되지만 강점이 적을 경우에는 오히려 위협요인이 크게 작용할 때 교육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회(O) - 약점(W) 결합모형에서는 외부자원의 기회요인들이 여의치 않을 경우 내부적인 약점들을 선별적으로 제거해 나가는 방식이 보다 효율적인 전략이었다. 논의에는 교육공동체의 계발과 산학 연계 시스템의 도입 그리고 맞춤형 상담제도의 활용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