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들의 경험을 온전히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질문은 ‘청소년기의 집단활동 경험은 어떤 의미인가?’이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을 3년 이상을 한 20세~25세의 성인초기의 청년 6명이었으며, 심층적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5월부터 11월까지 6개월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Giorgi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 4단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184개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 15개의 주제, 7개의 주제군,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범주들과 주제군을 함께 제시하면 <자기 성찰과 자기 성장의 기제: 새롭고 긍정적인 경험, 다각적인 요소의 의식, 지금까지 나를 만든 인생사건>, <온전한 그 자체로서의 경험: 추억의 한 페이지, 그 자체로 속함>, <이상과 현실의 괴리: 현실과의 조우, 부정적 경험>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의 청소년집단활동 경험은 자기 자신을 성장하고 기억하며 경험 자체를 온전히 삶에 내제시킬 수 있다는 것과 새로운 것에 대한 열망과 더 넓은 세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하며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현실과의 괴리를 동시에 느끼게 되는 계기로서도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in-depth, their opinions of the experience as it is in its entirety from their perspective. The question in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does the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mean?”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adolescents aged 20 to 25 in early adulthood with over 3 years'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with whom an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The total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six months from May through November 2013, an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used a method of scientific phenomenology in four steps proposed by Giorgi. As a result of the research, 15 topics, 7 topic groups and 3 categories were drawn based on 184 meanings. The categories with the topic groups include: Mechanisms of self-examination and self-growth: New, positive experience, awareness of multiple elements and life events that have made who I am; experience as a whole: a page of memory and belonging in itself; and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encounter with reality and negative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in adolescence allows them to grow themselves, remember and internalize the experience fully in their life and have a passion for new things and curiosity about a wider world, and acts as a chance to feel the gap between what they think is ideal and their reality simultane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