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지지의 연구들에서 간과해 온 사회적 지지제공의 측면을 포함하여 사회적 지지수혜와 지지제공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지수혜 및 지지제공이 초래하는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수혜와 지지제공 간에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주변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은 사람들이 주변의 중요한 타인에게 사회적 지지를 많이 제공했다. 둘째, 지지수혜와 지지제공 모두 주관적 행복감, 자기존중감, 우울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지지수혜뿐만 아니라 지지제공도 긍정적인 심리적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지지제공이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고유한 지지수혜는 주관적 행복감을 예언했으나, 자기존중감과 우울을 예언하지 못했다. 반면에, 지지수혜가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고유한 지지제공은 자기존중감과 우울을 예언했으나 주관적 행복감을 예언하지 못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수혜와 지지제공의 심리적 효과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수혜와 지지제공이 다른 심리적 결과들을 초래함을 입증함으로써 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나 심리치료 분야에서 ‘베풀기’및 ‘도움제공하기’방식의 치료적 접근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문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ipt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and explored the psychological effects resulting from receipt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ult that receipt of social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provision of social support, we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the receipt of social support increases altruistic concern for oth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ceipt of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 That is, those who received more supports from significant others surrounding him/her provided more supports for them. Second, both of the receipt an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This result implies that not only receipt of social support but also provision of social support result in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Third, when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provis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ceipt of social support, the receipt of social support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but did not predict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when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receipt of social support,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 predicted self-esteem and depression, but did not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In discussion section,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