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relationship,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adjustment to families with depressed parents. Fifty-eight adolesc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measuring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s well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Parents reported current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parenting behaviors. Results revealed that adolescent-reported family relationship quality wa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symptoms when controlling parental current depressive symptoms. Lower levels of parent-reported acceptance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 externalizing symptoms. These preliminary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understand the family environments of adolescents with depressed parents an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family cohesion and parental acceptance while treating depressed paren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가족환경 및 부모의 양육행동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부모를 둔 청소년들이 나타내는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임상적으로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된 부모를 둔 청소년 58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용 행동평가척도와 가족관계의 질에 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부모를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양육행동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이 보고한 가족관계의 질은 부모의 우울증상을 통제한 이후에도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증상에 영향을 주었다. 부모의 수용적 양육행동이 낮은 것은 청소년의 외현화 증상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부모가 우울증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경우 가족환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의 우울증을 치료하는 동안 가족의 응집성 및 부모의 수용적 양육행동을 향상시키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실천적 중재가 중요하다고 제안된다. 또한 연구의 함의, 제한점과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