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효도에 대한 지각을 효도 행동과 언어 표현, 효도의 방법과 이유, 불효의 내용과 효도하지 않았을 때의 마음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효도와 학업성취가 부모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소년 1,706명(초 401, 중 426, 고 433, 대 446; 남 852, 여, 854)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변인의 신뢰도는 α=.86∼.91로 양호하였다. 효도하기 위해 아버지에게 하는 행동으로는 아버지를 위해줌과 순종이, 어머니에게 하는 행동으로는 어머니를 도와줌이 부각되었다. 효도하기 위해 아버지에게 하는 말로는 예의바른 표현이, 어머니에게 하는 말로는 다정한 표현이 대표적이었다.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다정한 표현을 효도로 지각하였다. 효도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순종, 학업충실 등이 지적되었는데, 특히 고등학생은 학업충실을 강조하였다. 효도해야 하는 이유로는 혈연관계가 중요하였다. 부모에 대한 불효로는 순종하지 않음이 가장 대표적이었고, 학업소홀도 포함되었다.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았을 때 반수 이상이 죄송함을 느꼈다. 경로분석 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청소년의 부모와 관계에 대한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이러한 부모관계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은 학업성취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ilial piety among Korean adolescents, examining filial expression and behavior, best way of being filial and reasons for being filial, unfilial behavior and emotions when being unfilial.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relational efficacy on filial pie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examined. A total of 1,706 adolescents (elementary school=401, middle school=426, high school=433, university=446, consisting of male=852, and female=854) were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alpha of the scales were acceptable, ranging from .86 to 91. For filial behavior towards their father, students listed to care for them and obedience and for mother, they listed to help them. As for filial expression towards their father, students listed being polite and for mother, they listed affectionate expressions.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list affectionate expression than males students. As for best way of being filial, students listed obedience, followed being studious, with high school students reporting being studious to a great extent. As for reasons for being filial, students listed consanguinity as being important. As for unfilial behavior, students listed disobedience as being most representative and not being studious. When they were unfilial, a majority of students felt indebted.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 that parental social supp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parent-child relational efficacy, which in turn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behavior towards 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