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퇴소를 앞둔 중장기입소청소년의 퇴소 준비 과정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분석과정을 통해서 6명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결과는 39개의 의미단어와 1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3개의 범주로 퇴소과정 내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퇴소이후 자립을 준비하는 부분에 있어서 예상되는 문제들로 경제적 어려움, 미취업의 문제, 주거문제, 스스로에 대한 관리, 대인관계의 어려움, 진학에 대한 어려움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퇴소기간이 다가옴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퇴소 이후 자립생활을 하면서 겪게 될 많은 현실의 장벽을 만날 것이라 공통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진학에 대한 욕구와 동기부여는 확실하였으나 높은 등록금과 아르바이트와 학업의 병행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진학을 포기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퇴소를 앞둔 중장기입소청소년들의 자립에 관한 준비 부족과 시설, 지역사회 및 국가에서의 부족한 지원으로 인해 자립생활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에 시설 내에서의 실천적 개입과 국가차원에서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adolescents in the youth shelter for an extended period by clarify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preparation course of discharge.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6 participants were analyzed as 39 meaning words, 12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of experience in the course of discharge through Giorgi's analysis method. The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e economic difficulty, unemployment, housing problem, self management, human relations difficulty and going to college as their anticipated problems in the preparation of self-supporting after discharge.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psychological anxiety as the time of discharge was getting closer. Third, the participants commonly thought that they would face many barriers of reality in the course of self-supporting after discharge. Fourth, in spite of their definite desire and motivation to keep studying, the participants stated they would have to give up going to college due to high tuition and difficulty of studying while working. From the above results, the difficulties in the course of self-supporting after discharge could be expected due to lack of preparation, facilities and support from community and government for the adolescents in the youth shelter for an extended period. Thus, practical intervention within the facilities and intervention on policies from the government level are highly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