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군 적응 관련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검색한 결과, 2001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88편의 논문을 수집할 수 있었으며 그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논문 총 57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군 적응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은 양적으로 다소 부족한 수준이며, 육군 및 도움·배려병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둘째, 군 적응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는 8회기, 120분의 운영이 가장 많았으며, 군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자존감, 군생활적응, 우울감 감소,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제별로 제시된 프로그램들은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재구성된 프로그램에 비해 조금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research is purposed on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direction and finding of progressive study scheme for further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based on analysis of study trend, specifically preceding studies of soldier’s adaptation program which has been done in S. Korea. Among master’s dissertations, it has been collected 88 thesis of this subject announced during 2001 to 2015. We have only chosen 57 thesis which is related with our purpose, and analysed the study trend. As the result of that, first, the study on adaptation programs of soldier are not enough quantitatively, most programs are for the soldiers in military army and maladjusted soldiers. Second, most soldier’s adaptation programs are subjected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 The integrated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as the second most. Third,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most popular as study plan. Forth, program running is 8 sessions and 120 min. per a sess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re shown self-regard, soldier’s life adaptation, lessening depression and relationship in order of named. Last, in programs' subject, new programs are slightly more than redesigned programs. Basted on those result, this study is comprehensive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further progressive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