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belief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the track of natural sc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from 798 samples of natural high school students using cross-lagged panel correl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beliefs were measured on six occasions with an interval of one year. We perform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o test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The cross-lagged paths from academic achievement to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range .35 to .37, all ps < .001). And all of the paths from self-efficacy to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range .08 to .22, all ps < .001).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let teach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reflect on their own practices and find out why they need to build integrated perspectives on students’ academic problems that are strongly related to various factors.


이 연구는 고등학교 이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KYPS) 조사의 2003년에서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일 년 간격으로 총 6회에 걸쳐 측정된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의 상호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전 시점의 학업성취가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전 시점의 자기효능감 또한 다음 시점의 학업성취에 대하여 유의한 교차지연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상호예언 효과를 밝히는 것으로서 학생들의 학업문제를 이해하는데 교사와 학업 및 진로 상담자들이 통합적 관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 및 상담자들이 자기 효능감에 대한 고려없이 학업 성취만 일방적으로 강요하거나 학업 성취가 뒷받침되지 않는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음을 이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이론적 맥락에서 볼 때 이 연구를 통해 반두라의 사회 인지 이론이 문화차이와 상관없이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에도 일반화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