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과학고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업적 효능감과 긍정적인 또래관계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하는 과학고등학교와 과학영재학교 학생 93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긍정적인 또래관계는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보살핌과 자율적 의사결정에 대한 존중을 많이 받고 학업성취에 대한 압력을 적게 받은 과학고생일수록 일상생활에서 행복감과 만족감을 더 많이 보고함을 의미한다. 특히, 부모로부터 과도한 성취압력을 받지 않고 공감적 이해와 자율성에 대한 존중을 많이 경험한 과학고생일수록 학업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능력감이 높을 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관심과 인정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렇게 높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긍정적인 또래관계 경험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만족감과 행복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중 특히 주목할 점은 학업경쟁이 치열할 과학고생들이 지각하는 주관적 행복감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공감적 돌봄과 관심, 자율성에 대한 존중, 과도하지 않은 성취기대에 기반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상담적, 교육적 의의와 함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science high schoolers their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by four measurements for a total of 930 students of two science high schools and one science academy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re emotional care, the more respect for autonomous decision making, and the les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received from their parents, the more subjective wellb-being they reported.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subjective well-being reported by science-talented high schoolers are rooted at empathic understanding, respect for autonomy, and adequate achievement expectation from their parents. Counsel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