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FDI in the services sector on manufacturing productivity, using Korean data. The study finds that despite considerable liberalization of the services sector during the 1990s and substantial increase of FDI in finance and business services since the crisis, the productivity spillover effect through forward linkages is not yet significant. The low level of services input into manufacturing is the most likely reason explaining the lack of significant spillover effect. This suggests that independent expansion of those industries that tend to use services intensively may stimulate development of the services-input sector, and also encourage inter-sectoral productivity spillovers to occur.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부문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가 제조업부문 생산성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1990년대 서비스부문의 대폭적인 시장개방과 아시아금융위기 이후 금융 및 사업서비스 분야 등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가 상당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문간 생산성 파급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설명 하는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유력한 이유는 외국인직접투자를 통해 서비스부문에서 생산성이 증가하였다 하더라도 제조업부문에 대한 서비스 투입 정도가 아직은 너무 미미하여 생산성 파급효과가 실질적으로 발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서비스 투입 집중도가 높은 제조업 분야가 성장한다면 이것이 서비스 부문 생산을 자극하고, 부문간 거래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문간 생산성 파급효과 또한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