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에 대한 공무원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A광역자치단체 성과평가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외부환경(광역단체장, 지방의회, 고위직 공무원 등 관심도)이 내부 환경의 조성 및 시스템 수용 태도 개선에 있어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부환경주도의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은 지방공무원의 성과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변화와 정보시스템 활용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방공무원의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수용성 및 활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과 활발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정착을 위해서 중장기 계획과 연계한 목표 설정과 함께 인센티브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effects between local public servants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y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is case, it was to conduct a survey of A metropolitan government’s performance assessment public servants.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external environment(including attention and support of mayor, local council, and senior-level public servants) effects to improve inner environment(strategy and planning,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acceptance attitude of local public servants in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ue to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y external environment, there were still limitation of perception change of local public servants in performance management and utilizing information system. Therefore, it is required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communication to improve the accept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to local servant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 needs to provide clear goals and incentives in order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