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Kirkpatrick 모형을 활용하여 개인정보보호 교육효과 측정모형 및 지표를 개발하고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정보보호 교육을 수강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각 구성개념에 대한 Cronbach's α, CR, AVE는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단일차원에서의 각 구성개념별 측정변수의 신뢰도가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한 주성분 분석결과, 17개 측정지표는 반응, 학습, 행동, 결과 등 4개의 요인으로 묶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모형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는 대부분 수용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구성개념별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는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차요인분석 결과, 2차 요인인 개인정보보호 교육효과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고 있는 1차 요인은 학습이며, 행동, 반응, 결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개인정보보호 교육효과에 관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easurement model of privacy educational effects. Applying with the Kirkpatrick model, this study develops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effects of privacy education, and tes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model. The survey is conducted with the local officials taken the privacy education. The results of reliability tests indicate that the internal consistencies of each construct are ensured. The higher order factor analysis reveal the good fit indices to the data.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confirm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measurement model. Furthermor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ssure that the four factor solutions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 structure the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ivacy education of local offic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