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예비적 저축이론에 근거하여 최근 나타나고 있는 소비부진 현상을 설명한다. 예비적 저축이론의 핵심 구성요소인 미래의 소득 불확실성을 추정하기 위해 이 논문은 GMM 방식으로 추정한 시간선호율을 이용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정된 시간선호율은 2004년 이후 매년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최근 우리 사회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소비결정모형 추정 결과 시간선호율의 상승은 소비율의 하락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다. 셋째, 소득불평등도의 심화, 가계부채의 증가, 실업률의 상승 등도 각각 소비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상의 결과는 최근 국내의 소비부진현상이 부분적으로 미래의 소득불확실성에 기인함을 보여주는 한편 예비적 저축이론이 국내 경제에서도 성립함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This paper explains the recent decrease in consumption in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e precautionary saving theory. We employ the time preference rate estimated by GMM to reflect the future income uncertainty which is the key concept in the precautionary saving theory. We find that the estimated time preference rate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Korean economy recently. The estimation of 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ratio shows that the increase in time preference affects negatively to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In addition, each of the traditional consumption restricting factors such as income inequality, households' debt, and unemployment ratio is found to affect the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Our result shows that the recent decrease in consumption is at least partially attributed to the increase uncertainty in future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