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Rhine River is an international river which is shared by nine riparian countries. In retrospect, the River has often experienced the tragedy of the commons as a result of incompleteness and uncertainty of property rights over the Rhine: the inefficiency of the Rhine transportation, fishery and resource exhaustion, extreme pollution, etc. An efficient or cooperative outcome, Coasian bargaining predicts, is not achievable since each state does not care about the entire Rhine but its own interests. To address such problems, the Rhine riparian states have managed to agree on many international treaties and conventions: Salmon treaty, ICPR, the Chloride and Chemical Conventions, and Rhine Action Programme. They have developed various forms of institutions or regimes.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the institutional choice is endogenized and each choice of institutions is primarily explained by two key parameters: transaction costs involving dispute resolutions and opportunity costs resulting from non-cooperative use of the Rhine.


이 논문은 라인강을 중심으로 극심한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이른바 하딘(Hardin)이 언급한 “공유의 비극”을 살펴보고,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9개 라인 연안국들이 어떻게 국제하천협력을 발전시켜왔는지를 거래비용 경제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각국이 공유하는 국제하천의 경우 재산권이 불확실하여 코즈(Coase) 방식의 자발적 협상이 어려운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다. 라인강의 경우도 특히 연어 조약, 라인강보호국제기구 (ICPR), 클로라이드(염소) 협약, 화학 협약, 라인행동프로그램 (RAP) 등 다양한 협력제도들이 시행되어 왔다. 거래비용의 관점에서 이들 제도를 어떻게 내생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 개념 틀을 제시하면서, 라인강 협상을 둘러싼 다양한 거래비용 요소들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