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외식산업은 계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왔으며 이는 여성 직업인, 독신자,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서구형태의 식사문화가 보편화되고 일반 식사에 HMR을 이용하는 식사행동과 함께 사회적ㆍ문화적ㆍ경제적인 변화에 의한 결과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영동권 지역의 패스트푸드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외식대안평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은 7개의 요인과 6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으며 외식대안평가는 6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라이프스타일에 의한 외식대안평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주로 음식과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것이었다. 즉 외식대안평가의 요인1“음식”, 요인2“위생 및 청결”, 요인3“분위기, 요인6“광고 및 영업시간”등의 4개 요인이 라이프스타일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를(p<0.000***) 나타내었다.그리고 라이프스타일 중 군집3“브랜드선호지향군집”은 외식대안평가에서 요인3 “분위기”와 요인6“광고 및 영업시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집5“건강 노력지향군집”은 요인1“음식”과 요인2“위생 및 청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ince 1980's, Korean food-service industry has been developing continuously. This significant growth of food-service industry results from increase of female-job holder, single person, a married couple both working, eating behavior change to western style, the use of HM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significant evaluation's difference of eating-out alternatives by lifestyl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ustomer's lifestyle was divided into 7factors and 6clusters.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s(attributes) was divided into 6 factors. And some evaluations of alternativ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lifestyle. Factor1"Food", factor2"Sanitation and cleanness", factor3"Atmosphere", factor6"Advertisement and business time" among the evaluations of alternatives(attribut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y lifestyle's clusters (p<0.000***). As a result, Factor3"Atmosphere" and factor6"Advertisement and business time" were thought the most importantly by lifestyle Cluster3“Brand intention". And factor1"Food" and factor2 "Sanitation and cleanness" was thought the most importantly by lifestyle cluster5"Healtheffort inten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