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노사 간 상호이익이 될 수 있는 협상의 영향요인을 밝히고 노사 간의 차이를 파악하여 노사 협상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으로 실증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중 노동조합이 설립된 8개의 호텔을 대상으로 하였다.본 연구의 분석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협상태도의 적극성, 협상과정의 환경, 협상자의 신뢰도로 구성된 4개의 협상의 영향요인은 노사 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하여 협상자의 신뢰도를 제외한 3개의 협상영향요인에서 노사가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노사 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협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배양과 이를 통한 이익의 확대가 노사 간에 상호이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또한 사측의 경우 협상성과에 대하여 상호관계 중 우호적 신뢰관계를 중시하는 반면 노측은 합리공정한 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사 간 협상의 성과에 대한 중요도에서 차이가 보이고 있었다. 사측의 경우 차후 진행되어야 할 협상을 위한 신뢰관계의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으며 노측의 경우 적정하고 합리적인 협상의 성과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on joint-profits for both labor and manage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both sides to suggest successful negotiation approach. Survey was conducted to 8 luxury hotels in Seoul which have labor union. As a result, four different factors affecting negotiation were found such as communication skill, positiveness of negotiation attitude, environment of negotiation process and credibility of negotiator. The study hypotheses revealed that all factors except credibility of negotiat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One of the concrete results in this study is that communication skill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had strong impact on the negotiation outcom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can provide joint-profits for both union and management.One of other findings indicated that labor and management als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n importance level for negotiation outcome. Management valued on amicable relationship while union valued rational and fair relationship. In other words, management understand that amicable relationship guaranteed successful outcome for the future, but union preferred rationalness and fairness of present outc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