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내 관광의사결정 유형이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도, 재방문의사 등 관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가족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는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를 긍정적, 부정적, 전체적 Gap으로 분해하여 관광행동과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관광의사결정의 관광제안, 관광결정, 관광활동, 관광평가 단계에 있어서 실제의 사결정 유형은 남편위주, 부인위주, 부부공동, 가족공동 중 가족공동으로 관광의사결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의 관광의사결정에 있어서 부인과 자녀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관광지를 선택해서 관광을 다녀온 후인 관광평가 단계에서 전반적 만족도, 추천의향, 재방문의사 등 관광행동의 차이를ANOVA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전반적 만족도에 있어서 관광의사결정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광지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Gap이라는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각항목의 Gap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양한 위락활동’, ‘동행자의 찬반유무’, ‘관광비용’, ‘여행의 편의성’, ‘지역특색 및 토산품’, ‘흥미추구’, ‘과시용’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들 항목 중 ‘과시용’ 만이 기대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 있어서는 기대한 수준보다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단위 관광객들을 타겟으로 하는 리조트, 가족 휴양관광지 등은 관광객의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 모험적이고 체험적인 관광상품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본 연구는 가족의 여가활용 및 효용이라는 측면과 연계하여 사회적·가정적 지위에 따른 가족구성원의 역할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차별화되고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 효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objectively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decision-making patterns in a family on their tourism-related activities such a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and revisit. To measure the scale of choice significance and satisfaction, this paper sets Gap variables, the counter samples of which were paired t-test to see if the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an objectiv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such items as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e division of opinions among the company,' 'tourist cost,' 'convenience,' 'local colors and products,' 'interest pursuit,' and 'demonstration effec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se items, only the 'demonstration effect' shows higher satisfaction than tourists expect. In the other items, tourists are less satisfied than they expect. Accordingly, family resorts and tourist attractions are required to develop more active and appealing tourist commod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