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주류소비지출에 대한 소득 탄력성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자 좀 더 정확한 모형이 설정을 하고, 선형모형을 통한 모든 시점에 있어서 고정된 하나의 탄력성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주류 소비지출에 대한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자 시변 공적분 회귀모형(Time-varying cointegrating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주류소비지출에 대한 소득 탄력성을 재추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1990년부터 2008년까지의 주류소비 지출과 국민총소득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소득탄력성을 시간에 따라 1990년 1사분기에서 1994년 3사분기까지 소득탄력성의 단조증가구간, 1994년 4사분기부터 2001년 2사분기까지 지속적인 소득탄력성의 하락추세구간, 마지막으로, 2001년 2사분기를 기점으로 다시 소득탄력성이 반등하여 2008년 4사분기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구간으로 나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류소비 지출은 장기적 관점에서 고정된 하나의 소득 탄력성 값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득탄력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모든 구간에서 소득탄력성이 1미만의 값을 가짐으로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사치재가 아닌 필수재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examining the income elasticity of alcohol drinking expenditure using time series data from 1990 to 2008 with Time-varying cointegrating regression model. The real GNI and the real alcohol drinking expenditure data were gathered from 1990 to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long-run income elasticity to alcohol drinking expenditure can be characterized by three time intervals. From the first quarter of 1990 to third quarter of 1994, the long-run income elasticities have a monotone increasing pattern. From the fourth quarter of 1994 to second quarter of 2001, the income elasticities have a decreasing pattern. The income elasticities show increasing pattern again from second quarter of 2001 to fourth quarter of 2008. In conclusion, the income elasticity of alcohol drinking expenditure was different, as time was passed. In other words, there was a time-varying long-run stable equilibrium between alcohol drinking expenditure and income. In addition, alcohol drinking is not a luxury good, but a necessary good, because the estimated long-run income elasticities from this study was less than 1 for whole time horiz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