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관광목적지의 재방문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친숙도와 진기성의 역할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지각된 질, 만족, 그리고 재방문의도 등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진기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 2012년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일본을 방문하는 관광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했고, 기술분석, 신뢰성 검증, 확인요인분석, 그리고 이원변량분석 즉 ANOVA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 연구는관광의 질이 낮게 인식될 경우에는, 높은 친숙도의 관광객이 낮은 만족수준을 나타내지만, 관광의 질이 높을 경우에는, 높은 만족수준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 결과는 관광객 만족도에 미치는 지각된 질의 영향은 친숙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족과 재방문 사이에서의 친숙도의 역할에 관한 분석은 높은 친숙도의 관광객들은 만족도 수준에 관계없이 재방문 의도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는, 또한, 만족도가낮은 경우에, 높은 진기성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낮은 진기성의 관광객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재방문의도를 갖고있으나,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는, 더 부정적인 재방문의도를 갖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진기성이 재방문의도에대한 만족도의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결국,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높은 수준의 친숙도와 진기성을 가진 관광객들은 낮은 수준의 관광객들에 비해 관광지에서 보다 극단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familiarity and novelty for a tourism place in the decision-making a revisi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iarity and novelt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data were collected by tourists who visited in Japan from October 30 to November 5, 2012, and were analyzed such statistical tests a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ravelers, who have a higher level of familiarity with a tourism place, are lowly satisfied with the place if the quality of tourism is perceived as a low level, but highly satisfied in a high level of tourism quality perceived.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impact of tourism quality on travelers' satisfaction is moderated by the familiarity. The analysis about role of familiarity betwee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vealed that travelers seeking a higher level of familiarity is more positive about revisit intention regardless the level of their tourism satisfaction. Also, travelers seeking a high level of novelty for a tourism place, are more satisfied in their travel than travelers seeking a low level of novelty. If travelers are being with a low satisfaction, a higher level of novelty seeking among travelers are more positive about revisit intention than travelers being with a low level of novelty. However, when travelers are being with a high satisfaction, they are more negative about revisit intention than travelers being with a low level of novelty. In this context, the impact of satisfaction on the revisit intention could be moderated by the novelty. The study results, eventually, identified that tourists who have a high level of familiarity with and novelty for a tourism place, are associated with more polarized responses compared to tourists who have a low level of novelty and famili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