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외식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과체중 및 비만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한 건강 문제의 발생이 사회 문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전반의 변화와 더불어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올바른 식품선택을 위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영양표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 영양표시 제도에 대한 외식 소비자의인지도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인지도 조사는, 구체적으로 외식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인 인지도,외식영양 표시를 인지한 외식업체의 종류, 외식 영양표시의 선호하는 제공 방식 및 효율적인 제공 매체를 포함하였다. 조사를 위한 설문은 2013년 8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최근 3개월 이내 외식 경험이 있고, 외식 영양표시를본 적이 있는 10~50대 이상 외식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법 설문조사 방법(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method)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외식 영양표시 제도의 전반적인 인지도 및 만족도는 모두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가 외식 영양표시를 인지한 외식업체로는 햄버거전문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베이커리, 피자전문점, 패밀리레스토랑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외식 영양표시 제공 방식은 ‘메뉴북’이었다. 외식영양표시의 효율적인 제공 매체로는 ‘언론 및 대중매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소비자들이 보다외식 영양표시 제도를 잘 인지하고,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의 확대 및 효율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ith obesity has been observed due to the rise of restaurant diners and theirexpenditures for dining out. The consumer's interests in health and health conscious consumption lead to provisionof menu labeling as a means of offering nutritional information for the consumer's informed food choice. The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customer awareness of menu labeling for restaurants, including general awareness,types of restaurants customers are aware of as menu labeling offering, preferences for methods of menu labeling andperception on effective media for menu labeling. Further, the study examines customer satisfaction with menulabeling for restaurants. A self-administered survey has been used for data collection. A quota sampling has beenapplied and the sample consisted of customers who have seen menu labeling and have visited restaurants for the lastthree months at the times of survey.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Korea, inAugust, 2013.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ustomers have a medium level of awareness of menu labeling,while those in twenties show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than teens. Hamburger shops were the highest, followedby bakery shops, pizza places, and family restaurants, as the types of restaurants customers were aware of as menulabeling offering. A satisfaction level with menu labeling was also medium in general, while teens and twenties have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menu labeling than thirties or older. The participants claimed menu books as themost preferred method of menu labeling for restaurants, while the most effective media for menu labeling was pressand mass media. The findings of the study offer the strategies for government and industry to improve menulabeling practices for cust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