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관련 의사소통 수준을 살펴보고, 탐색적인 수준에서 입양 관련 의사소통과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의 2차년도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양가정들 내에서도 입양 관련 의사소통수준의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입양 관련 의사소통은 주로 부모에의해 시작되며, 부모는 일부러 기회를 만들거나 타인의 소식을 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입양 관련 대화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동이 입양과 관련된 질문을 하는 빈도는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입양 관련 의사소통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기 위해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폭넓게 살펴본 결과, 가정 내 입양 관련 의사소통 빈도와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는 입양부모의 입양 후 느낌, 입양의 공개범위,입양부모 모임 참여 횟수 등 입양부모의 입양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는 변수들이었으며, 아동의 입양 관련 질문 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 변수는아동의 월령, 양육기간, 입양부모의 학력, 거주지역(서울경인지역 거주) 등의 인구학적 변수들이었다.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보면, 입양부모의 입양후 느낌이 긍정적이고, 입양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들의 범위가 넓으며, 입양부모 모임에 참여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입양과 관련된 의사소통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아동이 성장하면서 입양과 관련된 질문이 증가하며, 학력이높은 입양부모가 이러한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자료상의 한계로 탐색적인 수준에 그쳤지만, 입양가정 내에서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in Korean adoptive families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ental and child’s involvement in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 The 2nd wave of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dopted Children were analy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lot of disparities in the level of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among Korean adoptive families.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are often led by adoptive parents. The parents tend to begin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by setting aside some time to inform the child or by informing the child of other people’s news such as pregnancy, birth and adoption and naturally leading the conversation towards adoption. However, the frequency of child’s questioning was relatively low.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ental and child’s involvement in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level of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and oth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adoptive families were examined. The level of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in the famil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adoption, the level of openness in adop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meeting for adoptive parents. The frequency of child’s questioning on adop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ge of the child (in months), the period of adoptive parenting, education level of adoptive parents, and residential area. Positive perception of adoption, the level of openness in adoption, and the frequency of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were all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adoption-related communications in the family. Also, the age of the chil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child’s questioning on adoption and higher education level of adoptive parents seems to promote this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