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동안 시간 흐름에 따른 외현적 공격성 및 일탈적 자아낙인의 안정성에 있어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이 둘 간의 상호적 인과관계 또한 남학생, 여학생 집단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 2,844명의 초등학교 4학년을 2008년 중학교 2학년까지 매년 추적 조사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5개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성별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외현적 공격성과 일탈적 자아낙인 모두 초4부터 중2까지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의 안정성에서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이전 시점의 외현적 공격성은 이후 시점의 일탈적 자아낙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일탈적 자아낙인은 이후 시점의 외현적 공격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외현적 공격성과 일탈적 자아낙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쌍방향적 인과관계가 성립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언급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th the stability 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of overt aggression and deviant self-labeling in early adolescents an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2,844 fourth graders who were followed for 5 years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nalyzed. In addition, multigroup analysis was executed across gende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prior overt aggression and deviant self-labeling have positive effects on subsequent overt aggression and deviant self-labeling respectively. Second, the reciprocal effects of overt aggression and deviant self-labeling have been found. Third,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there a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both the stability of overt aggression and deviant self-labeling across ti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