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저소득가정 아동의 지각된 부모관여가 자아개념과 또래관계를매개변수로 하여 심리사회적부적응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그리고 각 변인들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의 3, 4학년 저소득가정 아동 277명을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부적응, 지각된 부모관여, 자아개념, 또래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21.0 및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하여 Pearson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으로 분석되었다. 경로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지각된 부모관여를 독립변수로,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종속변수로,그리고 자아개념과 또래관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적합도와 경로추정치를 산출하고 수정을 거쳐 최종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저소득가정 아동의 지각된 부모관여가 심리사회적 부정응에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지각된 부모관여 → 심리사회적 부적응’, ‘지각된 부모관여 → 자아개념 → 심리사회적 부적응’, ‘지각된 부모관여 → 자아개념→ 또래관계 →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세 가지 경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변수는 자아개념이었으며 다음으로 또래관계와 지각된 부모관여의 순이었다. 셋째, 저소득가정 아동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는 지각된 부모관여와 심리사회적 부적응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끝으로 저소득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부적응에 각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예방하기 위한 변인들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to psychosocial maladjustment by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 were 277 3~4th grade children selected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Busan. Measurements include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K-CBCL, self concept scale for children and peer relationship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pathways from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to psychosocial maladjustment were identified :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 psychosocial maladjustment,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 self-concept → psychosocial maladjustment,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 self-concept → peer relationship → psychosocial maladjustment. Second, among all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self-concept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psycho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Third,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 linked only directly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involvement and psycho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These results implies that parental involvement,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hip could be protective fact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