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입양아동의 적응을 위한 입양부모의 대처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신체심리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하고 있는 입양아동을 양육하는 입양부모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와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양적 내용분석과 질적 범주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의 경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연구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입양아동의 문제와 개입 유형 등을 파악한 후 미리 구조화한 분석틀에 의해 구분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질적 분석의 경우, 2014년 9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연구참여자인입양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개별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가지고 범주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임상개입 사례의 유형, 문제에 대한 인식, 입양부모의 대처전략, 전문치료기관 탐색경로, 전문 치료기관 경험, 치료비 지불방식, 비공식 자원 경험, 공식 자원 경험, 정부와 민간의 급여와서비스 경험, 급여와 서비스에 대한 욕구 등의 범주 내에 다양한 하위범주와 의미단위들이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입양아동과 입양가족의적응을 돕기 위해 입양실천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doptive parents’ coping process for the adjustment of their adopted children. To attain this goal, we recruited adoptive parents rearing their adopted children with diverse bio-psycho-social problems and collected data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personal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categorizing analysi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roblems and the types of intervention for adopted children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qualitative analysis, data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adoptive parents were analyzed for categorizing. The results showed various subcategories and units of meanings, including the types of clinical intervention, perceptions of the problem, adoptive parents’ coping strategies, searching for treatment facilities, experiences with treatment facilities, payment of the treatment fee, experiences with informal resources, experiences with formal resources, experiences with public and private benefits and services, and the need for more benefits and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adoption field were suggested to help the adjustment of adopted children and their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