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시설에 입소한 피학대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 수준이 그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지지및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사이를 매개한다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의 영향 요인 구조를 검증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보호자의 학대행위로 인해 의뢰되어 입소된 아동복지시설 아동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Statistics Ver.18과 AMOS Ver.18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에 입소한 피학대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이높을수록 그들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중 사회적 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만,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 사이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효과를 가졌다. 넷째,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않지만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사이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효과를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에 입소한 피학대아동의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그들의 사회적 지지 기반을 다지고,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which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a history ofabuse affect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In this model, self-esteem was expected tomedi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y on school life adaptation. For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11 children in child welfareinstitutions admitted from child shelters due to abuse by their guardians. Thesummary of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s:First, higher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y perceived by the institutionalizedchildren with a history of abuse was found to be related with higher self-esteem. Second,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ego resiliency, social support had a directeffect on school adaptation while ego resilien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Inaddition,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adaptation. Third,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aptation. Fourth, ego resilien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However,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y and school adaptation. Through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lay the foundation of socialsupport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a history of abuse and to enhance their egoresiliency and self-esteem to increase school adap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