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 애착 수준이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리양육자와의 긍정적 관계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여 이에 따른 아동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에서 수집한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거주 중학교 2, 3학년 394명의 자료를 토대로 Ping(1996)의2단계 접근방식을 적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외보호아동의 친부모 애착 수준 및 대리양육자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이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부모 애착 수준이 아동의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대리양육자와의 관계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재 대리양육자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친부모애착 수준이 우울불안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외보호아동의 대리양육자와의 긍정적 관계가 친부모애착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완충기저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stitute guardians among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and behavioral problems.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 Panel Data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which targeted 394 children in 8th rade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and foster car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Ping’s (1996) two step metho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an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bstitute guardians were more likely to show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ve behaviors. Second, a child’s relationship with substitute guardians showe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and behavioral problems. That i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bstitute guardians weakened the effect of attachment to biological parents on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ve behaviors in children.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polic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