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적응유연성 이론에 기반하여 아동이 경험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을 분류한 후, 이들 잠재계층유형이 아동의 문제행동을 차별적으로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2014년 서울시교육청과 공동으로 학부모의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820명과 그들의 주양육자820명에게서 수집한 서울교육건강복지패널 1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소득빈곤, 의료욕구 미충족, 경제적 어려움, 식품불안정성, 비양친부모 동거가구, 주양육자 우울, 가정폭력 등을 가족환경위험요인으로 구성하였고, 행복감, 자존감,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애착, 또래관계, 가족활동 등을 보호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지표에 대해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유연성 이론을 반영하는 4 개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였다. ‘저위험⋅고보호집단’, ‘고위험⋅취약집단’, ‘적응유연성집단’, ‘저위험⋅비보호집단’으로 명명된 4개 잠재계층유형은 각각 우울, 공격성⋅주의집중, 비행행동 등 아동의 문제행동과 차별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상황에 노출되었지만 높은 수준의 보호요인을 가진 아동은 저위험⋅고보호집단과 함께 문제행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반면 고위험상황에서 높은 수준의 보호요인을 가지지 못한 고위험⋅취약집단은 문제행동을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 문제행동의 예방 및 개입과 관련하여 적응유연성 이론에 기반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이질적인하위집단유형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해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nderlying typology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a sample of 820 matched pairs of mothers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Seoul. Guided by resilience theory,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iles of children based on a combination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sults of a latent class analysis of 13 indicators suggested four empirically derived classes representing the overall pattern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e low-risk/high-protective group, the high-risk/vulnerable group, the resilient group, and the low-risk/non high-protective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sk and protective factor patterns reflecting resilience theory were found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depending upon the group. These included depression symptoms and aggressive behavior, as well as attention-deficit and delinquent behaviors. That is, children in the resilient group, as well as those in the low-risk/high-protective group were the least likely to experience problem behaviors. On the contrary, the high-risk/vulnerable group was the most likely to experience problem behavior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results suggest how this typology can be used to guide decisions about whom to target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which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o target.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