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18세기 대다수에 속한 피지배 서민의 이익을 대변하고, 서민들이 보다 도덕적 삶과 생존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한 順菴 安鼎福(1712~1791)을 대표적 지식인으로 규정하였다. 특히 순암 저술 가운데 46세(1757, 영조 33)에 저술한 임관정요와 그 논리를 지역사회에 실제 적용시켰다고 볼 수 있는 1756(영조 32)년에 작성한 경안면이리동약을 중심으로 전통사회의 대표적 자치조직인 계조직과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관정요를 보면 지방행정에서 지식인의 역할을 군현단위의 향소, 향교를 통한 자문 역할과 마을단위에서 동계의 조직과 훈장의 역할로 요약하고 있으며, 이러한 순암의 구상은 거주지 이리마을에서 1756년 ‘이리동계’ 조직, 1761년 이리마을 덕곡에 ‘麗澤齋’ 설립운영 등으로 구체화 된 것을 볼 수 있다.二里洞契約는 순암이 18세기 지역단위에서 경제, 사회적으로 성장한 서민들에 대한 인정체제 확립, 그러한 서민들 대다수가 거주하고 있었던 촌, 리, 동 단위의 사회적 질서와 경제적 안정, 그리고 국가 관료가 파견되지 못한 이러한 지역의 효율적 행정처리 등 세 축을 어떻게 수용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한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사족과 서민이 연계된 수직구조와 수평구조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 자치적 동계조직이야말로 지역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보장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체계로 확신하고 있다. 계를 조직하고 그 규범을 성문화하는 것은 지식인이 도덕적 교화를 통한 사회질서 안정의 역할을 맡고, 경제문제 담당 계층은 계 재산과 사창곡의 합리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것으로 역할을 분담했을 때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순암은 이리동계를 조직하고 운영하면서 신분의 상하, 관직의 고하, 출생의 선후(연령) 등은 기득권이나 특권이 아님을 강조하고 있다. 이리동계를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서민중심으로 운영한다면 갑자기 발생하여 대비하지 못하는 상喪이나 또 자연기후의 변동으로 인한 흉년을 대비할 수 있으며, 국가 권력의 횡포, 아전의 공적 직임의 망각 등의 사태에 동계조직 차원에서 감독하여 이리마을 사람들의 경제적 안정과 도덕적 질서를 확보하기를 기약하고 있다고 하고 있다.순암은 이리지역에서 예전부터 전래되어 오던 행동과 삶의 원칙을 18세기 사회, 경제적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재구성하고 성문화함으로써 이리마을 사람들이 보다 도덕적이고 생존에 유리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합리화하는 것이야말로 지식인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Betwee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 unique and distinctive harmony between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was achieved in Korea.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distinct effects of social knowledge capital in early modern Korea which is village association led by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I tested the distinct effects using the old archives which are constitution of village association preserved in Gyeonggi province Gwangju county Gyeongan village. this data set provided extensive information on village knowledge and capital, educational institution. An Jeongbok(1712~1791) who led to process of constitution of village association, codification of village rule. In this paper I first review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local self-government based on the harmony between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My analysis focused on how village constitution and rule codified for the stability of village people, what means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law of central government, custom law of local self-government and Confucian ethic.


Betwee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 unique and distinctive harmony between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was achieved in Korea.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distinct effects of social knowledge capital in early modern Korea which is village association led by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I tested the distinct effects using the old archives which are constitution of village association preserved in Gyeonggi province Gwangju county Gyeongan village. this data set provided extensive information on village knowledge and capital, educational institution. An Jeongbok(1712~1791) who led to process of constitution of village association, codification of village rule. In this paper I first review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local self-government based on the harmony between local elite group and common people. My analysis focused on how village constitution and rule codified for the stability of village people, what means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law of central government, custom law of local self-government and Confucian et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