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예기천견록에서 ① 경전을 경(經)과 전(傳)의 체제로 재구성하여 성리학적 시각에서 해명하는 점, ② 경전의 내용을 공부와 효과의 관계, 그리고 미발-존양, 이발-성찰의 이론 구조를 적용하여 經文의 의미들을 해명하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권근은 주륙화회(朱陸和會)적 시각이 아닌 주희의 입장에서 경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권근은 ① 명왕조에서 사서오경대전이 나오기 전에 권근은 이미 주희의 성리학 체계에 입각한 경전 연구기풍을 조성함으로써 조선시대 유학 연구의 방향 설정에 선구적으로 기여하였다. ② 성리설의 측면에서 볼 때, 입학도설의 내용은 조선 학자들에게 대체로 미흡한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성리설의 이론적 진전에 기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의 보전(補傳) 체제를 옹호하는 권근의 해석 방식은 이황 등에게 이어져 나타나고, 조선시대에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태극도의 음양 배치에 대한 권근의 해석은 이후 이황의 천명도설 성립 과정과 박세채의 이론적 해명 속에서 비판되고 극복되었지만, 도설(圖說)에 대한 정합적 해석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이황의 호발설(互發說) 성립에 대한 입학도설의 영향은 실제적으로 발견되지 않으며, 개연적 추론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권근의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에 연원을 두는 것으로 이황의 호발설을 해석하는 것은 이론적 약점을 드러내는 우회적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예기천견록은 간행되는 당시에는 국가적으로 주목받았지만, 성종대 이후 17세기에 이르기까지 예학 연구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18세기에 이르러 김재로 등에 의해 재해석되었는데, 권근이 성리학의 이론 구조를 반영시켜 경전의 내용을 재해석한 측면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Kwon-Keun's Understanding of Confucian Texts and the Echo from Later Ages攀* Professor of Inha University攀攀Lee, Bong-Kyoo* Kim Jang-Saeng traced the origin of four-seven debate to the Kwon-Keun's [Tian-Ren-Xin-Xing-He-Yi-Zi-Tu天人心性合一之圖]. In fact related remarks is not observed from the works by debaters. Instead, Yi-Hoang' some reflection on the Kwon-Keun's diagram and explanations in relation to Confucian Cosmology was construed by Park Se-Chae in 17th century. Therefore, it should seem that Kim Jang-Saeng' idea on the origin of four-seven debate was not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Kwon-Keun rearranged the body of Liji(禮記) in order to show that the sentences in Liji have a coherence in the context of Jing(經)-Zhuan(傳) and Cultivation(功)-Fruits(效). Such Interpretation of the context of confucian texts was traced to its origin in Daxuezhangju(大學章句), where Zhuxi(朱熹) rearranged the body of Daxue(大學) using the same idea. Kwon-Keun adhered the idea of Zhuxi against Luxue(陸學) in relation to clarifing the meaning and context of confucian texts. The influence of Kwon-Keun's attitude on the later confuians can be discovered from both sides. His adherence to the doctrines of Zhuxi helped Luwangxue(陸王學) beng excluded form the mainstream through Choson period. But his commentaries on the confucian texts and theortical reconstructions was criticized for the most part by later confucian literati only except for the partial explanation on Li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