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경제활동참여의 성 평등성 제고 차원에서나 국가경쟁력 강화, 고령화사회에서 생산인력 확보 차원에서 여성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의 필요성이 절실한 시기이다. 선진국에 비해 낮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특히 30대 여성의 높은 노동시장 이탈률과 낮은 복귀율, 대졸 기혼여성인력의 높은 경력단절율과 저조한 경제활동 참여율은 우리나라 여성인적자원 활용의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30대 이상 여성들에 대한 낮은 시장수요, 보수적인 가족문화와 직장문화, 그리고 출산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의 노동시장 복귀를 지원하는 정책의 미비 등으로 쉽게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이다. 노동시장이 나이 든 여성들을 원하지 않는 반면 중년층 여성들의 취업의사는 높은 편으로 이의 괴리를 줄여 중년층 여성들도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개발의 요구가 매우 크다. 30대와 40대는 노동력으로서 여성의 중년기라고 할 수 있다. 직업경력을 계속 개발하고 있는 재직여성들에게는 직업경력의 절정기이고, 실업 및 비경활여성들은 직업경력을 재개할 수 있는 시기로, 여성인적자원으로서의 직업능력개발 및 경제활동 참여요구가 높으므로 이를 지원하는 정책에 대한 요구도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업세계 진입의 잠재가능성이 큰 중년층 여성들의 직업능력개발 실태 및 요구와 그들에 대한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중년 여성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Enhancing women's labour participation rate becomes more critical in terms of securing gender equality, reinforcement of country's competitiveness, as well as reserving more manpower in the aging era. Compared with OECD countries, the level of Korean women's labour participation is considered low. In particular, the highly educated women who are in their 30s or 40s tend to retire from their careers as getting married and having children, and never come back labour market due to the low market demand, conservative culture at workplace and home. However, it is known that they still want to have jobs which allow them to balance their career and personal life. Government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economic utilization of the middle aged women and provide supportive polici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organizations, and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more elaborated policies specially dedicated to the middle aged women's needs for vocational and technical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