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을 대상으로 고교 진학 시의 진로선택(계열, 전공) 자발성이 졸업 후 노동시장 성과(상용직 취업, 임금, 직장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1 고졸자 취업진로조사」(HSGOM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및 전공 선택 시, 성적이나 주변의 권유 등 비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것보다 ‘취업’이나 ‘대학진학’, ‘직업 및 취업전망’ 등 뚜렷한 목표를 갖고 진학을 한 경우에 졸업 후 노동시장 성과가 높았다. 이는 고교진학을 앞둔 중학생들에게 특성화고 진학의 의미, 학과정보, 전공선택의 중요성 등에 대한 진로지도 외에 진로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계열선택 이유가 ‘취업’인 경우는 상용직 취업과 임금, 직장만족도 등 모든 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졸업 후 취업’이라는 특성화고의 설립목적에 동의하는 지원자를 선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으로 의미하며, 특성화고 입학생 선발 시에도 이러한 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진로지도와 취업지원 그리고 가정 내 진로지도가 고졸청년층의 직장만족도, 임금, 상용직 취업에 대체로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와 취업지원과 더불어 가정 내 진로지도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voluntary choice of tracks and majors of vocational high school on labor market outcomes(employment status, wages, job satisfaction) of high school graduate youth in Korea. I have used the resources of 「2011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HSGOMS)」 from KEIS. The results on actual analysis are listed as following. First, It was more effective in labor market outcomes(employment status, wages, job satisfaction) that voluntary choice of tracks and majors of vocational high school for reasons such as employment, college admissions and career prospects than involuntary choice for reasons such as a middle school record or recommendation of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ccording to this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scheduled to attend high school should be provided career guidance about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majors information etc. and programs that enhance self-motivation in career choice.  Second, Choice of tracks of high school due to employment was positive effective in employment status, wage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important that an applicant who agree ‘employment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is selected. Third, Career guidance and employment support in high school and in the home were also mostly positive effective in employment status, wages, job satisfaction. Thus, Career guidance and employment support in high school and in the home should be strength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