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감, 혁신, 실용의 세 가지 상위요인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구성하는 요인인 것으로 정의하였다. 공감요인은 인지공감, 정서공감, 사회문제인식, 혁신 요인은 아이디어 창출, 혁신실행, 의미창조, 실용 요인은 유용성, 유연성, 지속성 등으로 설정하였다. 이 아홉 가지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되어 있는 사회적기업가 및 예비사회적기업가 85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합된 응답 결과 중 369개의 활용 가능한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이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한 위계적 3차 요인 모형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의 내적구조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제안한 아홉 개의 하위요인이 사회적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을 제대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사의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α = .939).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밝혀진 사회적기업가정신의 수준은 사회적기업가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 및 지원방안 마련, 사회적기업가 육성 모델 개발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미래에 사회적기업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이들에게 사회적기업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 태도 및 역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social entrepreneurship.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sub-domain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three main factors of social entrepreneurship was compassion, innovation, and practicality. The expert group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social enterprise approv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tems. Item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final version of the test with 27 items was built. 369 social entrepreneu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social entrepreneurship scale was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Cronbach's coefficient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uggested that some of the fit indices(CFI=.876, TLI=.850, RMSEA=.071) supported that empiric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showed very good fit to the model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e reliability using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also found to be acceptable(α=.939).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on selecting and developing social entrepren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