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차원에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과 생산을 융합한 다양한 제조업 혁신 정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독일은 2012년부터 인더스트리 4.0을 출범하여, 스마트공장 개발 및 구축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초기에는 대기업 중심으로 도입되었지만, 최근에는 독일 중소기업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사례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경영학적 관점에서 중소기업 경영을 바꾸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식하고, 독일 중소기업의 인더스트리 4.0 도입 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 정부 및 중소기업의 제조업 혁신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인더스트리 4.0 관련 핵심 원천기술의 개발, 도입의 확산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 산학연 연계형태의 기술네트워크의 구축 등을 통하여 개별 중소기업 차원의 도입 결정을 독려하고 여건을 조성하는 역할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숫자에 매몰되지 않고, 독일처럼 중소기업들이 자신들에 가장 적합한 스마트공장 등 생산 혁신 기술 및 시스템을 자기 주도적으로 추진하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노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독일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 사례를 보면 ①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강력한 의지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이 주도적으로 추진하였고, ② 회사에 대한 신뢰관계를 기반으로 종업원들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③ 스마트공장 도입 중소기업은 해당 분야 스마트공장 시스템 비즈니스의 공급업체로 부상하는 등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창출하였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독일 사례에 비추어 한국 중소기업도 스마트공장 추진과 관련하여 정부나 대기업에 의존하기 보다는 자신들이 주도적으로 해당 분야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 및 시스템의 개발에 나서는 것이 필요하며, 종업원의 절대적인 지지 및 새로운 비즈니스 및 가치창출과 연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Government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have been implementing new industrial policy to innovate their manufacturing sectors by utilizing state-of-the-art technologies o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CT), such as Internet of Things(IoT) or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2012 German government launched ‘Industry 4.0’ policy, and started to support many related R&D projects, such as ‘smart factory’. As more and more SMEs are actively adopting ‘Industry 4.0’ by building their own ‘smart factory’ in Germany, it is necessary for Korean government and SMEs to review the German experience in order to find out effective ways to innovate manufacturing capabilities of Korean SMEs. German government’s approach was to support indirectly SMEs’ efforts to introduce ‘smart factory’ by establishing regional technology clusters, such as ‘It’s OWL(Intelligent Technical Systems OstWestfalenLippe)’, a technology network composed of local SM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in the east region of the German federal state ‘North Rhine-Westphalia’. Two German SME cases(Otto Boge and Harting), which introduced smart factory within this ‘It’s OWL’ network, showed that they are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dopting the smart factory, even though they are getting supports from other participants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cases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adopting smart factory; ① SME’s top management strategically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to all related parties, ② SME’s employees are actively accept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based on their long-term trust relations with the company and management, ③ SMEs create a new business model in the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German SMEs’ adoption of smart factory this study suggests to Korean government that it should focus on self-sustaining capability of Korean SMEs in adopting smart factory. Also, this study proposes to Korean SMEs that they should play a leading role in adopting smart factory, rather than relying on direct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from government.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n SMEs to build up a solid trust relations with their employees in adopting smart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