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래된 포도주’와 ‘참나무 상자’라는 예를 통해 Sraffa는 생산방식이 불변임에도 불구하고 이윤율이 변화함에 따라 가격역전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분배와 가격의 변화와 무관하게 측정가능한 실물단위로 자본을 나타내려는 시도의 허구성을 폭로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역전은 불변자본의 가치를 간접노동량으로 두는 노동가치론의 입장에 심각한 타격을 가한다. 그러나 Sraffa의 예에서 보여준 가격역전은 두 상품의 특수한 생산여건에서 비롯되었을 뿐이다. 이 글에서는 자본집약적 상품과 노동집약적 상품을 대표하는 2생산물체계를 분석하여 이윤율의 변화가 자본집약적 상품의 상대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여기에서 노동집약적 상품을 뉴메레르로 두었음) 결론적으로 Sraffa의 예에서 일어난 가격역전은 자본집약적인 상품과 노동집약적인 상품 간에 일어날 가능성으로 확대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간접노동량을 가치측정의 단위로 두는 투하노동가치론의 입장에 어떠한 손상도 가하지 않는다.


Sraffa reveals the absurdity of capital as a measurable quantity independent of distribution and price as a result of the price reversals in the wine aged and the oak chest. His discussion strikes a fatal blow at the neoclassical model. But the labour theory of value is not free from this stroke. Because indirect labor is not available to represent the value of constant capital under the general possibility of the price reversals. But this price reversals don't mean the general possibility of the price reversals. Because this price reversals are caused by the unusual production of two commodities.This paper analyses two products system in input/output model. In this system, it is impossible to occur the price reversals between two products with a different ratio of direct labor/indirect labor. Therefore the price reversals in Sraffa's example are no longer valid for withdrawing a point of view that indirect labor represents the value of constant capital in the labor theory of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