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 경제학은 제도론적 전환이 큰 흐름이다. 그렇지만 오늘날 진보적제도경제학이 자본주의 비판이론으로서 마르크스 경제학의 성과를 충분히확보하면서 발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이 글은 마르크스경제학의 적극적 성과를 수용하는 “제도의 정치경제학”의 발전을 위한 작업이 요구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우노 코조의 단계론 및 현대자본주의론의기여와 한계를 평가한다. 우노 경제학은 원리론의 상품론도 그러하지만, 단계론 및 금융자본론으로 대표되는 현대자본주의론 또한 마르크스 경제학내부에서 제도론적진화의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그리고 그 성과는 제도의 정치경제학의발전을 위한 중요한 유산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나 우노경제학의 진화는 중도반절에 그쳤다. 이 글의 결론은 역사적 자본의 자립적 전개를 해명한 우노경제학의 성과를 계승하되, 그것에 특유한 자유경쟁적인 순수자본주의와 이후의 불순화라는 단순 이분법을 극복하고 제도 진화의 단계론과제도적 다양성론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Theory of Stage and Financial Capital in Uno Kozo in order to develop the political economy of institution including the positive side of Marxian economics. Uno's theory made important progress of the institutional turn and evolution in the history of Marxian economics and it need to be regarded as the essential parts of the political economy of institution. However, institutional turn of Uno's theory stopped halfway. It is argued that Uno's theory should dismiss the dichotomy of pure capitalism and impurification, and have the new thinking of institutional embeddedness, stage of institutional evolution and institutional d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