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서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개인적 변인에 의한 평균차이를 분석하여 비서학 전공 대학생에 대한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전공만족도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 분석에서는 저학년보다 고학년의 전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전공만족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경우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 요인 중에서 ‘능력불안(2.57)’, ‘우유부단한 성격(2.55)’, ‘직업정보부족(2.43)’, ‘미래환경불안(2.43)’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이(1.69)’, ‘신체적 열등감(1.72)’은 낮게 나타나서 장벽으로 여기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진로장벽요인이 낮게 나타나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셋째, 진로장벽 요인 모두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입증하였으나 이 관계에 전공만족도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가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에는 각각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분석되었으므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s of career barrier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The theoretical study of each factor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ry review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ypothesis that wer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study’s ob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and 279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satisfaction level were higher compared to middle point.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lower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Second, anxiety about ability, indecisiv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hortage, and anxiety about future environment was higher than other barrier factors. The lower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r career barrier was. Third, all factors of career barrier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major satisfaction didn't play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ith this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