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행비서는 비서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서(일반비서)와 경호학에서 정의하고 있는 경호비서가 상호 융합, 확대된 개념으로서 새로운 비서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수행비서 관련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비서학, 경호학, 행정학 등에서 진행된 국내 수행비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학문적, 실무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행비서 연구동향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online)으로 제공하는 수행비서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연구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행비서 연구실적, 수행비서 연구내용, 수행비서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은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수행비서 연구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문헌연구를 일부 병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비서 연구실적은 1970년대 1편, 1980년대 0편, 1990년대 0편, 2000년대 18편, 2010년대 4편 등 모두 23편으로 수행비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연구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수행비서의 학문적 영역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행비서 연구내용은 1970년대 직무수행 1편, 2000년대 기본이론 1편, 교육과정 6편, 직무수행 11편, 2010년대 이후 교육과정 2편, 직무수행 2편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비서학에서는 수행비서에 대한 교육과정 관련연구를, 경호학에서는 수행비서에 대한 기본이론 관련연구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수행비서 연구방법은 1970년대 양적연구 1편, 2000년대 양적연구 5편, 질적연구 12편, 융합연구 1편, 2010년대 질적연구 2편, 융합연구 2편의 관련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양적연구에 대한 비중을 높이고,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는 융합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넷째, 수행비서 연구를 위한 발전방안으로는 ① 수행비서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 강화, ② 수행비서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 강화, ③ 수행비서 교육과정 표준화 및 연계교육을 통한 관련연구 장려 등이 있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analyze trends regarding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including research progres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in respect to several fields of study such as secretarial science, security science, and the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to propose possible future improvements in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The specific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a total of 23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to executive secretaries – one in the 70’s, zero in the 80's, zero in the 90's, 18 in the 2000s, and four since 2010. The numbers reflect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eld; however, the studies conducted thus far have been insufficient,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better theoretical basis for the assessment of executive secretaries. Second, the themes of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have been as follows: one on duty performance in the 70’s, one on introductory theory, six on training courses, and 11 on duty performance in the 2000’s, in addition to two studies conducted into training courses and two on duty performance conducted since 2010. With regard to secretarial science, training courses for executive secretaries, and security science, introductory theories for executive secretary-related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further in future studies. Third, the methods for research into executive secretaries have been as follows: on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the 70’s, five quantitative studies, 12 qualitative studies, and one mixed-method study were conducted in the 2000’s, and two qualitative studies and two mixed-methods studies have been done since 2010. The percentage of quantitative studies should be increased in the future, and more mixed-method research should also be considered. Finally, with regard to possible future improvements for executive secretary research, several approaches may prove useful; for example: 1. consolidating basic and applied research on executive secretary, 2. integrative academic approach for executive secretaries, 3. standardization of executive secretary training courses and the promotion of research related to associate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