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탐색하고자 했다. 즉, 문화적 공감이 문화적 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문화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이를 위해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문화차이 인식, 자기가치 인식, 타인가치 인식으로 나누었으며, 이러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화적 공감 변인 중 문화적 차이 수용, 공감적 감정과 표현, 공감적 관점 취하기, 공감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구학적 변인과 문화적 경험 변인이 문화적 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지 추가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으로 299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공감의 수준은 보통의 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 공감 변인 중 공감적 감정과 표현이 문화적 역량의 세 하위 변인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감적 관점 취하기와 문화차이 인식은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공감적 인식은 자기가치 인식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인구학적 변인 중 학년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문화적 경험에서 활발한 교육 경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외 경험에서는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이 외국을 방문한 적이 없고, 응답자의 4분의 3이 외국인 친구가 없으며, 90%가 외국인과 의사소통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문화적 경험 변인 중 교육 경험에서 자원봉사, 현장실습, 직장체험 등 다문화 관련 현장 경험이 문화차이 인식과 자기가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 외 경험에서 해외 방문 경험은 타인가치 인식에서, 해외 거주 경험은 문화차이 인식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해 다문화 관련 현장 경험을 포함한 문화적 경험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공감적 감정과 표현, 공감적 인식의 측면이 강조된 문화적 공감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문화적 역량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ltural empathy on cultual competency. Cultural competency was divided into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s, self-worth, and other-worth. Cultural empathy has sub-variables such as acceptance of cultural differences, empathic feeling and expression, empathic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awareness. In addition, the study researched on whether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 cultural competency. Characteristics has sub-variable such as grade, and cultural experiences has sub-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non-educational experiences. Data was collected from samples of 299 students in four junior college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First,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and cultural empathy proved to be above- average. Second, empathic feeling and expres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ree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y while empathic perspective tak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s. Empathic aware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self-worth. Third, grade was not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ultural competency. Fourth, the opportunities of cultural experiences includ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non-educational experiences were not found to be actively provided. Finally, multi-cultural field experiences including volunteer, field study, and internship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elf-worth. In addition, experiences of visiting abroad and living abroad proved to significantly affect awareness of other-worth and cultural difference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