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 3개 대학의 비서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총 267부를 분석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낮아진다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서는 목표선택이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취업준비행동 중에서 취업실전준비는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취업기초준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인턴십, 학점관리, 자기관리 등의 행동은 취업스트레스를 경감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사회지지추구 대처가 취업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중심적 대처가 취업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인의 입장이나 생각을 가족, 선배, 친구, 스승에게 의논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사회지지추구 대처가 취업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취업스트레스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는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에서 목표선택, 취업준비행동 중에서 취업실전준비 순서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감소하기 위한 개별적 상담지도 전략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seeking stres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tress coping on that stress.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reviews were conducted and 3 hypotheses wer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267 students who majored in secretarial stud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oosing a career choice fro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s negative effects on job-seeking stress. Second, preliminar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fluence negatively on job-seeking stress. Third, seek social support strategy between stress coping has negative effects on job-seeking stress, but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Fourth, the most big influence factor on job-seeking stress is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Based on research findings, variety of counsel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to deal with job-seeing stress can be helpful to successful campus lif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