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자들의 의사소통 유형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유형과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비서직에 적합한 의사소통 교육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경남권의 비서학 전공생 311명을 대상으로 수사적 민감성 척도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하였고 의사소통 유형과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교차분석과 평균차이검정을 통하여 대학별, 학년별 의사소통 유형의 차이와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 간 차이를 검증하였고, 상관관계분석과 공분산분석을 통하여 의사소통 유형과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수사적 과민형 유형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수사적 과민형은 자기주도적인 표현보다는 대상자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맞추어 가는 유형이다. 또한 응답자들은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에 대한 자가평가에서 자신감이 다소 결여되었으며, 각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유형 중 수사적 고집형과 수사적 민감형이 스피치 내용적 요소와 비언어적 기술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공분산분석결과,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 중 내용적 요소가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고학력일수록 높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의사소통 유형 중 수사적 고집형과 민감형의 점수가 증가할수록 내용적 요소의 점수가 증가함을 확인하여 의사소통 유형은 스피치 능력 구성요소의 향상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서학 의사소통 교육에서 의사소통 유형의 개선을 위한 자기 표현 능력과 스피치 능력 향상을 위하여 그 구성요소인 내용적 요소, 비언어적 기술, 스피치 유창성을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스피치 능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communication types of the secretarial science majors,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types and speech capabilities, and suggests appropriate communication-based curriculum for future secretaries. Both rhetorical sensitivity scale and speech capabilit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of 311 participants all secretarial science majors in Kyonggi and Kyungnam province.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in crosstabs, t-test,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ANCOVA. The analysis shows that respondents were mostly rhetorical reflector communication type meaning they tend to accept others' opinions rather than express theirs confidently. In addition, they lack of self-confidence in speaking and using non-verbal skills effectively. This study find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types (especially novel selves and rhetorical sensitivities) and speech capabilities(such as speech organization and non-verbal skills). Also, students in higher grades have better capability of organizing speech content than lower students and both novel selves and rhetorical sensitivity influence capability of organizing content positively.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ffectively strengthen verbal and non-verbal speaking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