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청소년들은 일상적 사회적 영역에서 미성숙하고 감정적이라는 근거로 배제되고 있지만, 디지털 참여 연구에서 정서 및 감성적 차원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디지털 공간의 청소년 참여 특성을 하위문화의 시각에서 커뮤니티 이용자들 간의 감성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 커뮤니티 ‘촛불소녀코리아’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새로운 기획자로서 청소년의 형성과정과 청소년의 디지털 참여 특성을 도출하고 있다. 사례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이용자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광장의 기획자로서 자기 및 커뮤니티의 실재감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 이용자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복합적 활용을 매개로 디지털 광장을 오프라인 광장과 융합되는 탈경계화된 공간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셋째, 직접적이고 체험적인 특성을 띠는 식품안전이슈는 세대 간 보편성과 아울러 청소년 세대의 정서적 연대를 형성하는 주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넷째, 청소년 이용자들의 디지털 참여는 이미지지향적이고 정서적인 커뮤니케이션 특징이 두드러진다. 다섯째, 청소년 이용자들의 디지털 참여는 리플놀이와 피스몹과 같은 일상성에 기초한 유희적 참여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The exclusion of youth from social spheres is generally based on premise which youth are the emotional being. But emotions are important in the digital participation.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research on a youth participation in digital age, that is performed through analyzing electronic contents of youth online community ‘candlegirls’ from the viewpoint of subculture. This research focuses on two parts: formation processes of youth identity project and emotional features of digital youth participa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 users in ‘candlegirls’ construct a self and commuinty identity in digital space. Second, youth users make the multiple use of digital media and form a digital agora of a convergent space. Third, food security has the universality between generation and branch out emotional solidarity within youth generation for the reason that it is a direct and empirical issue. Forth, digital communications of youth users show that they are image-oriented and emotional. Fifth, digital youth participations are also remarkably everyday and playing in the sense that they lay emphasis on an instant f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