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집단은 선거에서 동질화 효과와 차별화 효과의 두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정치권력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먼저, 사회집단은 동일한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비슷한 정서, 태도, 가치관, 이익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유사한 투표선택을 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사회집단 사이에 큰 격차와 차별이 존재할 경우 승자집단과 패자집단은 대립적 쟁점을 둘러싸고 정치적 갈등을 빚고, 그에 따라 상이한 투표선택을 하게 된다. 지난 1992~2012년 사이에 치러진 다섯 번의 대통령선거에 대한 경험적 분석은 지역·이념·세대집단이 한국사회의 정치권력을 결정하는 핵심집단이었음을 보여준다. 계층과 학력집단은 몇몇 대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난다. 사회집단과 정당간의 선거연합을 분석하면, 새정치민주연합(2016년 현재의 더불어민주당) 계열의 정당은 주로 호남, 진보이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중간층 및 남성집단과 선거연합을 구성했고, 새누리당 계열의 정당은 영남, 보수이념,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하위층, 여성 등과 선거연합을 구성했다. 경험적 분석에서 확인된 다른 특징은 민주화 이후 선거가 거듭될수록 사회집단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합리적 투표와 합의투표 등 개인 요인에 의한 투표가 증가함으로써 대통령 선거의 유동성과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Social groups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electoral outcomes through two mechanisms. One is the homogenizing mechanism in which members of a group, sharing similar attitudes, values, and interests, vote in a similar way. Another is the discriminating mechanism in which members of different groups, having different attitudes, values, and interests owing to socio-economic inequality and/or political conflict, support different parties in elec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five presidential elections held between 1992 and 2012 shows that regional, ideological, and generational groups have been the core groups that determined electoral outcomes in Korea. From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gressive (democratic) party has formed electoral coalitions with Honam, progressive, and young voters, while the conservative party created electoral coalitions by allying with Youngnam, conservative, and old voters. Another important finding was that as social groups came to lose their influence in a relatively sense in in successive elections. individual voting patterns, such as rational voting and valence voting became more pronounced, increasing electoral volatility and uncertai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