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어머니와 자녀 간에 교환되는 보상과 강압적 자원이 이들 간의 관계만족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부모자녀관계는 일회적 관계가 아니므로 상호작용은 연속적 교환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보상과 강압적 자원의 두 시점에 걸친 변화와 이러한 교환과정 이후의 복종, 보복이나 보상보류와 같은 다양한 반응이 관계만족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어머니와 자녀 쌍으로 구성된 100쌍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2년과 2013년 두 해에 걸쳐 수집된 자료이다. 관계만족도 변화에 있어서, 자녀는 어머니로부터 받은 보상의 증가에 의한 정적 영향이 크고, 일방적으로 자녀들에게 보상적 자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어머니의 경우에도 자녀로부터의 보상의 증가에 의해 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자녀와 달리 어머니는 자녀로부터 받는 강압의 증가에 의한 부적 영향이 컸다. 이에 더하여 자녀들이 어머니에게 복종을 하면 어머니의 관계만족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자녀들은 어머니가 자신들에게 행하는 강압적 교환 전략에 의해 만족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는 어머니의 강압에 대해 합법적이라고 인지하거나 훈육이나 애정으로 인지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향후 교환이론을 적용하여 부모자녀관계를 연구할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xchanged rewards and coercion on mother-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changes.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are serial exchange processes because their relationship is continuou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nge of the relational satisfaction is affected by the changes, between two years, of the other’s rewards or coercion as well as compliance, coercive revenge or reward withholding.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nsisted of 100 mother-child couples collected from the survey in 2012 and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s large portion of satisfaction chang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reward level. Although We expected that the mother would provide unilateral rewards to children, mothers also experienced that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risen by the increase of the rewards, though not as much as the child did. Mothers’ satisfaction level was also affected by the child’s compliance. However, the coercion level change has a major negative effect on mother’s satisfaction changes. Meanwhile, the child was not seriously affected by the mother’s coercion because the child perceived the mother’s coercion as either ‘legitimate’ one or the expression of discipline/ affection. We suggeste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other-child relationships based on the exchange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