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난 10년간 한국사회에서 반기업정서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인 이론과 분석에 기초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조직사회학의 정당성 이론으로 반기업정서를 접근하며, 조직의 정당성을 조직의 과거 성과, 현재적 의미, 미래의 기여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더불어 1960년 이후 정권의 교체기마다 이루어진 대기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고찰함으로써 반기업정서의 역사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기반을 두어 반기업정서를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12년 7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1,3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기업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핵심적인 발견은 세 가지이다. 첫째, 사회제도에 대하여 신뢰하지 않을수록 기업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젊은 세대일수록, 그리고 교육의 수준이 높을수록 반기업정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계의 소득수준이 낮거나, 대도시에서 성장하지 않은 사람들이 반기업정서를 가지고 있다.


Although there have been public and academic debates on the anti-corporate culture in Korea over a decade, it is still unclear why high level of anti-corporate sentiments continually exist. Using a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data collected in 2012,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having anti-corporate attitudes as well as factors that increase or decrease confidence on corporations. The study finds that trust on social institution decreases the level of anti-corporation attitudes. It also shows that the young and highly educated Koreans have higher level of anti-corporate sentiments. Finally, the study shows that people from lower income family are more likely to have anti-corporate attitudes. The findings carry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