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춘천 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정도를 조사하고, 같은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실태 및 인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아침과 저녁 식사를 매일 먹는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각각 54.1%와 80.3%였으며, ‘빵 및 과자류’(42.6%)와 ‘과일이나 주스’(39.3%)를 간식으로 주로 섭취하였다. 학생들의 57.4%만이 균형 잡힌 식사를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지식 측정에서 정답율은 59%, 식태도 측정에서 좋은 식태도를 보인 학생은 75%에 불과하였다. 교사들의 78%가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었으며, 교과 수업시간(38.9%)과학교 급식 시간(35.2%)에 주로 식생활교육을 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학생들의 식생활문제는 잘못된 식습관(37.7%)과 가공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잦은 섭취(36.2%)였다. 교사들은식생활교육이 필요하며(79.7%) 더 일찍 실시되어야 한다(87.0%)고 응답하였다. 한편 학교에서의식생활교육의 주요 담당자에 대한 질문에는 영양교사(49.3%), 담임교사(34.8%)라고 응답하였고,40세 이상의 교사들은 학교에서의 식생활교육의주요 담당자로 교사인 본인 보다는 영양교사나학부모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교과지도 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측면에서 식생활교육을 행하는데 있어서 적임자는 담임교사이므로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의 특성과 교사의역할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5th and 6th grader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area. The children who had breakfast and supper everyday accounted for 54.1% and 80.3% each. Children consumed ‘breads or confectioneries’(42.6%) and ‘fruits or juices’(39.3) as snacks. Only 57.4% of the children had balanced diet. Only 59% of the children answered correctly at the nutritional knowledge test, and only 75%had good dietary behaviors. About 78% of the teachers had the experiences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y taught it in class(38.9%) or at school lunchtime(35.2%).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major nutrition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were bad eating habits(37.7%) and too much ingestion of fast or instant foods(36.2%). They also answere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was necessary(79.7%) and should be started more earlier(87.0%). Ironically, about 49%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dietitians even if the teacher who spent most of the time with their students is the best person for dietary life education at school. It should be done in children's daily life,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the specialty of dietary lif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