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보공개서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여외식 프랜차이징 기업의 기업 특성과 성과를 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기준 169개의 정보공개서를 바탕으로 프랜차이징의 규모, 마케팅역량,운영특성과 성과에 관해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프랜차이징 규모와 성과에서 직영점수는 매출액, 당기순이익, 총점포수에 유의하였고, 가맹점수는 총점포수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게팅 역량 변수와 성과에서는 광고비는 매출액, 총점포수, 판촉비는 매출액, 당기순이익, 총점포수에 유의하였고, 광고비는 당기순이익에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영특성과 성과에서는 사업기간 만이 매출액, 당기순이익, 총점포수에 유의하였고, 브랜드 수는 성과에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의 가치로는 정보공개서를이용하여 기타 외식 프랜차이징 기업의 규모, 마케팅역량, 운영특성 변수와 성과를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외식프랜차이징 기업의 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직영점수,광고비, 판매촉진비, 업력 등이 재무성과에 기여하였고, 비재무성과에는 광고비, 가맹점수 등에서영향력이 높게 나타나, 기업의 경쟁의 위치에 따라 전략적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 횡단적 연구방법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종적인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한다면 더욱 가치 있는 연구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concerning franchising companies’characteristics andperformance in foodservice business by employing financial data from the firms’ IDS(Information DisclosureStatem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identify any correlations among franchising size,marketing competency,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echnique based upon 169 IDSdata as of 2013. In terms of franchisor size and performance, the number of company-operated stores had statisticallysignificant corelation with sales, net income, the total number of stores, and the number of franchisees. With respect to marketing competency and performance, advertising expen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correlation with sales, the total number of stores, promotion expenses with sales, net income, and the total numberof stor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urrent year's net income. At last, present study foun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business years, sales, current year's net income, andthe total number of stores by regard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correlation between brands and performance. This study is cross-sectional study which is a limitation to be overcomein further studi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view the possibility for franchise management style tocontribute to expanding the Korean traditional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