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한 인식과 수행 정도, 자기장학을 저해하는 요인, 중점을 두어야 할 자기장학의 분야, 효과적인 자기장학의 방법 등을 밝혀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남 동부 지역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 인식에 관한 5문항, 자기장학 이행에 관한 12문항, 자기장학 활성화에 관한 3문항 등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표준편차, t검증, F검증, chi-square test,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들의 업무경감, 보상제도 도입, 학습조직 구축, 유아교육기관의 실정 및 교사발달 수준에 맞는 자기장학 모형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degree on self-supervi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ir self-supervis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Namdo. The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positive in the self-supervision. Second, they have a high self-supervision performance degree. Third,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heavy work to revitalize the self-super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degree on self-supervi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ir self-supervis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JeollaNamdo. The result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positive in the self-supervision. Second, they have a high self-supervision performance degree. Third,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heavy work to revitalize the self-supervision.